실크론지크림 얼굴,무좀,여드름 사용 가능? 성분 용량, 효능, 부작용

피부 건선, 염증성 피부염 치료제인 실크론지크림에 대해 알려드립니다. 실크론지 크림을 얼굴, 무좀, 여드름에도 사용가능 여부와 성분인 베타메타손과 겐타마이신 그리고 효능 및 부작용도 알아봅니다.

실크론지크림

이 약을 알게 된 것은 초등딸의 목 피부 한 곳이 거칠어지고 하얀 각질로 올라오는 증상으로 병원에 방문하고 나서 이 약에 대해 알고자 검색해 보았습니다. 알레르기에 의한 건선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. 아이가 사용하는 약이고 엄마로서 궁금해서 알아보다가 겸사겸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.

이 연고는 동광제약에서 나온 피부염 전문의약품입니다. 약국에 바로 가서 살 수 없고 병원의 진료 후에 처방전이 있어야 살 수 있는 전문의약품입니다.

이 피부염 치료제는 의사의 적확한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면 증상이 빨리 나아지지만 스테로이드 성분이 들어있어서 2주 이상으로 오랫동안 사용하면 안 됩니다.

겐타마이신황산염(항생제)와 베타메타손디프로피오네이트(스테로이드 성분)가 복합적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감염 및 염증을 완화하기 위한 일반적인 피부질환에도 사용할 수 있고 진물 나오는 상처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그래서 이전에 피부 발진과 붓기로 병원에 갔더니 이 제품을 처방 받았는데 이번에 염증이 난 상처로 인해 병원에 갔더니 똑같은 이 약을 처방받아서 이게 맞는 건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.

실크론지크림-제품 사진1
실크론지크림-제품 사진1

실크론지크림 성분

이 약의 주요성분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겐타마이신황산염(항생제)와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(스테로이드 성분)입니다.

실크론지크림- 약학정보원
실크론지크림- 약학정보원

겐타마이신황산염(항생제)

항생제 성분으로 세균 감염을 막아줍니다. 이 제품에는 1mg/1g이 들어있습니다. 특히 포도상구균, 대장균, 녹농균 등에 매우 효과적입니다.

이 겐타마이신황산염은 항생제로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습니다.

  • 항생제란: 세균 감염증을 치료하는 약, 향균제 또는 항생물질이라고도 물리며 미생물을 만들어 내는 물질로 병원성 박테리아 감염 및 치료에 사용합니다.

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(스테로이드)

스테로이드 성분입니다. 스테로이드도 강도에 따라 등급이 나누어져 있습니다. 이 베타메타손은 2단계 등급에 해당합니다. 즉 강함 등급의 스테로이드 제품입니다. 따라서 상처에 바르면 피부 염증을 빠르게 좋아집니다.

  • 스테로이드: 부신에서 분비 호르몬으로 우리 몸의 면역 및 염증반응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쳐 숙주의 면역 반응을 막아줍니다. 이 성분은 만성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에도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습니다.
  • 미국에서 스테로이드 외용제 등급 총 7단계로 나누고 있습니다. 주로 혈관에 수축작용 따라 나누고 외용제는 연고, 크림, 로션, 용액 등으로 분류합니다.
    • 강도: 1단계(매우 강함)
    •  2단계(강함)
    • 3단계
    • 4단계 > 5단계 > 6단계
    • 7단계(매우 약함)

실크론지크림 가격과 용량

용량에 따라 세가지로 나누고 있고 가격도 용량에 따라 각각 다릅니다. 주요 성분인 겐타마이신인 항제와 스테로이드인 베타메타손이 더 많이 들어있는 것은 아닙니다. 겐타마이신 1mg/1g , 베타메타손은 640μg/g이 들어있습니다.

  • 500g: 의료보험 적용해서 약 19,500원 정도입니다.
  • 20g: 의료보험 적용해서 약780원 정도입니다.
  • 15g: 의료보험 적용해서 약 650원 정도입니다..
실크론지크림-제품 사진2
실크론지크림-제품 사진2

실크론지크림 효능

이 크림은 피부 염증 치료와 상처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. 염증을 막아주고 세균이 증식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치료합니다.

  • 염증성 피부질환에 효능이 있습니다.
    • 알레르기성 피부염
    • 접촉성 피부
    • 아토피성 피부염
    • 주루성 피부염
  • 세균 동반 질환에도 효능이 있습니다. 그이유는 겐타마이신 항생제 성분으로 감염 위험이 있고 세균성 2차 감염 위험이 있을 때 사용합니다.
    • 농가진
    • 모낭염
  • 습진과 간찰진 피부질환에도 사용합니다.
    • 습진
    • 간찰진(피부 접촉 부위에 염증)
건선, 박탈피부염-사진
건선, 박탈피부염-사진
  • 만성 피부질환에도 사용합니다.
    • 만성 단순태선(피부가 뚜꺼워짐)
    • 간찰진(피부 접촉 부위에 염증)
    • 박탈 피부염(피부가 붉어지고 각질이 벗겨지는 염증성 질환으로, 벗음피부염, 홍색피부증이라고도 불림)
    • 구진상 두드러기(빈대, 모기, 벼륙 등의 자상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빈대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.)
    • 건선(피부에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있는 다양한 크기의 붉은색 구진, 발진이 반복적으로 발생)
  • 기타 아래와 같을 때도 사용합니다..
    • 벌레 불린 자국
    • 땀띠
    • 원형 탈모증
    • 1도 화상.
    • 가려움증(항문,음부)
    • 일광피부염

실크론지크림 사용법과 주의사항

실크론지크림 얼굴에 사용시

베타메타손과 겐타마이신 복합제 연고로 2등급의 높은 강도의 스테로이드인 베타메타손을 지속적으로 얼굴에 바르면 스테로이드 유발 주사피부염, 여드름, 구주위피부염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. 연고가 녹으면서 눈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 없기에 사용을 권하지 않아요.

실크론지크림-제품 사진3
실크론지크림-제품 사진4

꼭 사용한다면 피부가 얇아서 흡수율이 높아 1주일 이상 연속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.

  • 쌀알 크기 정도의 아주 소량으로 얼굴 증상 부위에만 바릅니다.
  • 눈에 들어가면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눈 주변 3cm 이내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.
  • 얼굴에 바른 후에 피부가 위축되거나 피가 많이 돌면서 피부가 붉게 보이는 홍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중단합니다.

실크론지크림 여드름과 모낭염에 사용시

되도록이면 여드름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 모공 막힘으로 염증이 악화될 숭 ㅣㅆ습니다. 단, 농포가 있는 여드름일 경우 아주 소량 바릅니다. 실크론지크림 모낭염에 사용시 하루에 2번 정도 3일간 바른 후에 호전되지 않으며 병원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.

  • 농포: 피부에 생기는 염증성 여드름 병변으로, 고름이 차있는 융기된 주머니

실크론지크림 습진 사용시

습진의 경우는 피부 습진 부위를 깨끗히 씻은 후 완전히 바른 후에 바릅니다. 2주 사용 후에도 개선되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. 만약 보습크림을 바르고자 할 때는 실크론지크림을 먼저 바르고 충분히 흡수된 후 보습크림을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.

  • 급성기: 하루에 2회-5일 정도 사용
  • 만성: 1일 1회로 횟수를 줄입니다.

실크론지크림 무좀 사용시

무좀에 바를때는 백선, 칸디다증 등 진균 감염으로 인한 무좀에 사용할 경우에는 진균 증식을 빠르게 해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.

절대 사용금지

  • 수두.대상포진, 옴: 전염성 질환 악화
  • 결핵. 매독: 면역 반응 저해
  • 눈꺼풀, 외이도 도포 금지: 점막 자극
  • 입주변 도포 금지: 입주위 피부염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.

실크론지 크림 사용법, 부작용

제일 큰 부작용음 2주 이상 장기간 사용할 때는 피부가 위축 및 스테로이드 부작용 위험이 있습니다. 또한 흔한 부작용으로는 피부 자극으로 빨갛게 올라오거나 가려움을 동반합니다.

스테로이드 부작용은 피부가 얇아지거나 쉽게 벗겨지고 멍이 잘 듭니다. 안면혹조와 튼살 그리고 없던 여드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또한 피부 뿐만 아니라 몸에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고혈압, 근육 약화, 백내장, 녹내장, 골다공증, 감염 위험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. 또한 둥근 달 모양의 얼굴, 소화불량 , 궤양, 당뇨 그리고 소아에서는 성장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올바른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1회 사용량(소량): 검지 첫 마디 크기(0.5g 이하)
  • 도포 전 피부 건조 확인
  • 개봉 후 6개월 이내 사용
  • 2세 미만 영유아 금지
  • 임신·수유 중 의사 상담 필수
  • 다른 연고와 혼용 금지, 사용할 경우 먼저 연고 사용 후 30분 간격으로 발라줌.
  • 증상 없어졌다면 3일간 조금씩 양과 횟수를 줄임